All posts

기본관세? 상호관세?🤯 관세 영어표현의 모든것!💰🇺🇸

Jul 13, 2025 지혜 & Ian

요즘 뉴스만 펼치면 나오는 관세, 관세, 관세!!🤑

올해 초 4월 2일 선언된 '해방의 날' 이후, 계속해서 관세 정책들이 바뀌고 있죠.

기본관세, 보편관세, 상호관세, 보복관세 등등 한국어로 들어도 머리아픈 다양한 관세들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하는지 살펴볼게요.


먼저, 이 모든 관세 전쟁의 시초가 된 '해방의 날' 부터 살펴볼게요.

2025년 4월 2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전면전을 선언하며 이 날을 'Liberation Day(해방의 날)'로 명명했어요.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따르면 이는 미국의 "실질적 경제 독립 선언"이기 때문에 해방의 날로 선언했으며, 대미 무역적자 해소, 미국내 제조업 보호, 일자리 창출, 세수 증대 등을 목표로 삼았다고 밝혔습니다.

참고로, 해방의 날을 뜻하는 Liberation Day는 한국의 공휴일인 광복절을 나타내는 표현이기도 한답니다!

이날 발표된 관세 체계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1. 4월 5일부터 모든 수입품에 10% 기본관세(baseline tariff)도입

2. 4월 9일부터 약 60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 도입 (국가별 11~50%, 한국은 25%)

이게 기본 골자인데요, 국가별 상호관세는 7월 8일까지 90일 유예 되었다가, 최근 8월 1일로 다시 연기하며 일본, 한국 등 국가들에 시행될 최종 관세율을 담은 "최종 경고" 서한이 발송되었어요.

최근 무역 전쟁의 핵심인 관세는 대부분 tariff로 표현되지만, import/export tax, duty, customs duty, levy 또한 관세를 나타낼 수 있는 다른 표현들이에요.

  • Import/export Tax - 말 그대로 관세의 정의인 수입(import)/수출(export)에 부과되는 세금을 의미해요.
  • Duty - Tariff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조금 더 넓은 의미의 세금을 나타내는 표현이에요. 우리에게는 duty free(면세점/tax free)으로 친숙한 표현이죠. 세관을 나타내는 단어인 customs와 함께 customs duty(관세)라는 보다 공식적인 표현으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 Levy - 주로 관세보다는 일반적인 세금(tax), 벌금(fine), 특별 부담금(charge) 등을 나타내는 더 넓은 의미의 표현이에요. 이번 무역 전쟁에서는 특정 수입품에 대해 부과되는 부담금이라는 맥락에서 관세와 비슷하게 사용되고 있어요. Levy는 명사, 동사형으로 모두 사용 가능한 표현이어서, 관세 관련된 영어 기사를 읽다보면 impose(세금 등을 부과하다)와 비슷하게 levy(부과하다, 징수하다)라는 동사형 표현으로도 자주 사용되는 걸 볼 수 있어요.

다음은 실제 기사에서 levy가 명사형으로 사용된 예시들이에요. 이번주 월스트리트 저널(WSJ)에서 발췌한 문장들입니다.

Trump also threatened an additional levy on countries aligning themselves with the Brics group of emerging economies - Brics 그룹과 연합할 경우 추가적인관세 경고 (WSJ, Jul 7)

The president said he would impose 50% duties on copper and a levy of as much as 200% on pharmaceutical imports. - 의약품에 최대 200%의 관세를 경고 (WSJ, Jul 9)

다음 문장은 levy가 동사형으로 '부과하다'는 의미로 사용된 경우입니다.

The president levied tariffs (관세를 부과했다) on Canadian goods and over the weekend added a 100% duty on films produced outside the U.S. (WSJ, May 6)

이번 관세 전쟁의 핵심은 기본관세(baseline tariff)상호관세(reciprocal tariff)입니다. 그러나 뉴스를 보다 보면 더 많은 관세들이 계속 등장하죠🤯

2025년 관세 전쟁에서 기본관세(baseline tariff)보편관세(universal tariff)는 모든 국가에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점에서 같은 의미처럼 사용되고 있어요.

한편, 세계무역기구(WTO)의최혜국대우 관세(MFN(Most Favored Nation) tariff)는 국제 무역 규범에 따라 WTO 회원국 전체에 차별 없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표준 관세율을 의미해요. 이는 다자간 합의 기반의 표준 세율이라는 점에서,baseline/universal tariff처럼 한 정부가 정책적으로 설정한 통일 관세율과는 차이가 있답니다.

또 다른 관세는 올해 초 미국-중국의 협상 과정에서 많이 등장했던 보복관세(retaliatory tariff)에요. 상대국이 특정 관세를 부과할 경우 보복 차원에서 부과하는 관세죠. 상대방의 조치에 대응한다는 점에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와 비슷하지만, 보복관세는 상호관세보다 더 부정적이고 공격적인 뉘앙스를 포함하고 있어요.

이제 관세 관련 기사들을 통해 관세에 관련된 영어 표현들이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살펴볼게요.

Liberation Day tariffs (해방의 날 관세)

The Liberation Day tariffs are a broad package of import duties (수입 관세) announced by U.S. President Donald Trump on April 2, 2025—a date he called "Liberation Day". In a White House Rose Garden ceremony, Trump signed Executive Order (행정명령)14257, titled Regulating Imports With a Reciprocal Tariff (상호 관세) to Rectify Trade Practices That Contribute to Large and Persistent Annual United States Goods Trade Deficits (미국의 대규모 지속적인 연간 상품 무역 적자를 야기하는 무역 관행을 시정하기 위한 상호 관세를 통한 수입 규제).

Executive Order 14257 imposed (부과하다) a 10% baseline tariff (기본 관세)on imports (수입품) from nearly all countries beginning April 5, with higher rates applied to countries with which the United States carried the largest trade deficits (무역 적자) starting April 9. The Trump administration called the measures "reciprocal (상호적)", asserting they were intended to mirror and counteract (상쇄하다) foreign trade barriers (무역 장벽) imposed on U.S. exports (수출품).

https://en.wikipedia.org/wiki/Liberation_Day_tariffs

다음으로는 뜨끈뜨끈🔥 이번주에 발표된 최종 경고 서한에 관한 기사를 읽어볼게요.

Japan, South Korea face 25% tariffs as Trump ramps up trade war in letters to 14 nations (일본과 한국, 25% 관세 직면… 트럼프, 14개국에 서한 보내 무역전쟁 강화)

https://www.reuters.com/world/eus-von-der-leyen-had-good-exchange-with-trump-over-phone-commission-says-2025-07-07/


새로운 시대와 정책의 변화에 맞춰 함께 바뀌어 가고 있는 관세 관련 표현들!

다음주에는 또 어떤 새로운 관세 정책 변화들이 기다리고 있을까요?

쏟아지는 관세 관련 뉴스들도 이제 자신있게 영어기사로 읽어보아요😎💰


데일리 토끼와 함께 즐겁게 영어공부 하고 계신가요?

다양한 주제의 영어 표현과 재밌는 영어 이야기들을 매주 이메일로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데일리 토끼 뉴스레터💌를 구독해보세요 :)